병원약 유통기한,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
병원약 유통기한, 꼭 알아두어야 할 것들
약의 종류별 유통기한
약은 일반적으로 '유효기한'이나 '사용기한'이라는 개념으로 표시되고 있어요. 이는 약의 효능이 유지되는 기간을 의미하죠. 그렇다면 약의 종류별로 유통기한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볼까요?
병에 든 알약
유통기한은 1년이에요. 하지만 약을 개봉하고 나면 그 효능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시럽약
유통기한은 6개월이에요. 시럽약은 오염 위험이 있어 뚜껑을 꼭 닫아두는 것이 중요해요.
가루약
유통기한은 제조일로부터 6개월이에요.
조제된 알약
유통기한은 2개월이에요.
연고, 크림
유통기한은 6개월이에요.
안약, 안연고
유통기한은 1개월이에요. 이런 액체 제형들은 오염 위험이 크기 때문에 뚜껑을 항상 닫아 두는 것이 중요해요.
처방전에는 유통기한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죠. 그럴 때는 위의 기준을 참고해 보시면 되겠습니다. 약국에서는 항상 조제일자를 약봉투에 적어 드리니 그 날짜를 기준으로 관리하시면 됩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약, 어떻게 해야 할까?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먹어도 괜찮을까요? 전문가들은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어요. 유통기한이 지나면 약 효능이 거의 없어지기 때문에 아무런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약에 대한 내성만 생길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가장 안전한 방법은 약국에 가져가 폐기하는 것이에요. 약국에는 폐의약품 수거함이 마련되어 있으니 그곳에 버리면 됩니다.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유통기한 내라도 먹지 말아야 할 경우
유통기한이 지나지 않았다고 해서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니에요. 약의 외관이나 상태를 꼭 확인해야 해요.
예를 들어 타이레놀 같은 알약의 경우 코팅이 녹아 있거나 금이 가 있다면 먹지 말아야 해요. 크림이나 연고는 액체가 딱딱하게 굳어 있거나 오염된 경우 역시 사용하지 마세요. 시럽약도 내용물이 흐르지 않고 덩어리가 생기거나 가스가 발생한 경우 먹지 마세요. 가루약도 변색이나 덩어리가 생기면 안 되겠죠.
이렇게 약의 외관이나 상태가 이상한 경우에는 유통기한과 상관없이 절대 먹지 마세요. 건강을 위해서라도 주의해야 합니다.
약 유통기한 관리, 이제 걱정 없이 안전하게 복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 혹시 궁금한 점이 더 있으시다면 언제든 약사님께 문의해 보세요. 건강한 생활 되시기를 바랍니다!
댓글